본문 바로가기
직업 직장 공무원 정보

소정근로시간 209시간 근로산정법 주52시간 근무제

by 김무야호3호 2024. 5. 4.

목차

    월 근로시간 209시간 근로산정법

    (40h + 8시간) × ( 365 일 ÷ 7 일 ÷ 12 달 ) = 209 시간

    (40시간(1주당 근무시간) + 8시간(주휴 근무 인정시간)) × (365일(1년)÷ 7일(일주일)  ÷ 12개월)

    = 48시간(1주당 근무시간) ×4.3452주(1달 평균 주 단위) × 12(달) = 209시간/월

    소수점 이하로 나온 월 근로시간을 편의상 올림 처리하여 209시간이 됩니다.

    주 40시간 근무시 209시간 근로산정법 간단 정리.

    ✔ 주 근로시간 40시간 = 하루 8시간 근무 기준 주 5일 근무 (8시간 × 5일)
    ✔ 주휴 인정 근로시간 8시간 = 한 주간 만근 했을 경우 주어지는 주휴 시간, 즉 급여를 받으면서 쉬는 날이지만, 근무한 날로 간주하는 시간
    ✔ 365 ÷ 7 ÷12 = 한 달에 평균 주일 수 (4.3452주)

    월 근로시간 226시간 근로산정법 

    (44시간 + 8시간) × (365 ÷ 7 ÷ 12) = 226 시간

    ( 토요일 반나절 근무하던 주 44시간 근무시간 체계 + 8시간(주휴 근무 인정시간)) ×  (365일(1년)÷ 7일(일주일)  ÷ 12개월)

    한 주간 근무시간 52시간 × 한 달 4.3452주 = 226시간

    계산하면 소수점 이하 숫자가 나오는데 올림 하여 편의상 226으로 계산합니다.

    ✔ 토요일 근무 4시간만 추가되며, 나머지는 209시간 계산과 동일합니다.

    주 52시간 근무제의 현실과 회사들의 꼼수

    대한민국의 새로운 근로시간 정책,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서 우리 사회의 노동 환경에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 이 규제는 근로자들의 과로를 막고,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이론과 실제가 많이 떨어지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 현실을 들여다보고,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할지를 탐구해보려고 합니다.

    1. 주 52시간 근무제의 도입 배경

    한때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 일하는 나라 중 하나였습니다. 과도한 근무 시간은 건강, 가족과의 시간, 취미 등 개인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018년부터 주 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하였습니다.

    주 40시간을 기본으로, 추가로 주당 12시간까지의 초과 근무를 허용하는 이 제도는, 과거의 주 44시간 근무제에 비해 많은 변화를 불러왔습니다. 주 5일 근무를 기준으로 하면, 이는 하루에 약 2시간 이상의 야근을 제한한다는 의미입니다.

    2. 현실의 주 52시간 근무제

    하지만 현실에서는 이러한 규제가 완벽하게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일부 회사들은 저녁 식사 시간을 야근시간에서 제외하는 등의 꼼수를 써서, 실제로는 근로자가 더 많은 시간을 일하는 상황을 만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근무시간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인 경우, 회사는 저녁 식사 시간을 오후 6시부터 8시까지로 잡습니다. 그리고 야근은 오후 8시부터 10시까지로 정하며, 이 시간에 일한 것만을 초과 근무로 인정합니다.

    이렇게 되면, 근로자는 6시부터 저녁을 먹고 다시 일을 시작하여 10시까지 일하는데, 이 중 2시간은 '식사시간'으로 분류되어 실제 야근으로 인정되는 시간은 2시간이 됩니다. 하지만 근로자는 저녁을 먹는 동안에도 일을 계속하게 되므로, 실제로는 4시간 동안 일하는 셈입니다. 이는 회사가 법을 회피하는 한 가지 방법이며, 이런 방식은 불법입니다. 물론, 모든 회사가 이렇게 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사례가 없지 않아 현장에서는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법률적으로 보면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감시하고 처벌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특히 중소기업에서는 이런 문제가 더욱 심각합니다.

    3. 주 52시간 근무제의 개선방향

    주 52시간 근무제는 근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큰 기여를 하였지만, 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기업의 불합리한 근무시간 분류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욱 강력한 법적 제재가 필요하며, 이를 감시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근로자와 기업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야근 시간에 대한 적절한 보상 제도도 마련되어야 합니다. 기업이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식사 제공 등의 복지는 근로자의 근무 시간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인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근로자 자신이 자신의 권리를 인식하고 이를 지킬 수 있는 교육도 중요합니다. 근로자 스스로 자신의 권리를 알고 이를 위해 행동하게 되면, 기업도 그에 맞는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입니다.

    주 52시간 근무제는 아직 완벽하지 않지만, 이를 개선하고 더 나은 노동 환경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우리 모두가 이 과정에 참여하여, 더욱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약

    주 52시간 근무제의 도입 배경 과도한 근무 시간을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
    현실의 주 52시간 근무제 일부 회사들이 꼼수를 사용하여 실제 근무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 발생
    주 52시간 근무제의 개선 방향 강력한 법적 제재, 감시 체계 마련, 야근 시간에 대한 보상 제도 개선, 근로자의 권리 교육이 필요
    반응형